router-link태그를 사용하여 화면에서 router에 연결한 해당 주소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이 태그는 최종적으로 화면에서 a태그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a href=””></a>
⇒ 주로 html에서 링크로 이용할때 사용되는 태그!
즉, 기본적으로 router-link는 라우터에서 페이지 이동을 하기 위한 링크태그라고 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router-link태그 내 속성 to에 해당 링크를 클릭시 이동할 페이지를 넣어주면 된다.
이렇게 연결을 해주면 화면에서 나오게되고,
원하는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이 된다.
Anonymous Component ⇒ 현재 html에서 실행하고 있기에 컴포넌트의 정확한 이름은 나오지 않으나,
이후 Vue의 싱글 파일 컴포넌트를 이용해 라우터를 사용하게 되면 라우터에 라우터 컴포넌트 이름이 매칭되어 화면에 나오게 될것이라고 한다.
다시말해 라우터는 페이지 이동시 사용하는 뷰 공식 라이브러리이자 기능!
페이지 이동과 관련된 기능을 vue-router로 구현가능하다.
뷰 라우터 옵션으로 먼저 routes 만 주어보았다. 그 외 다른 옵션으로 mode라는 것이 있다.
대부분의 SPA 앱에서는 이 두가지 옵션을 필수로 지정한다.